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로 국내 기업들이 신입 채용을 대폭 줄여 취업 문이 전보다 더 좁아졌다. 취업 준비생들은 서류 준비 과정에서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과도하게 사용해 소중한 구직 기회를 날리는 일이 없어야 한다. <메트로경제신문> 은 지난달 25~27일 AI 기반 서류 평가 서비스 '프리즘' 개발사인 무하유에 생성형 AI를 활용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주의해야 할 점 등을 서면으로 물었다. 다음은 일문일답.
-'GPT킬러'의 자소서 표절 검사 방식이 어떻게 되나. '저는 강원도 강릉에서 3대 독자로 태어나~', '같이의 가치를 구현하는~', '대학에서 축제를 기획하며~', 등의 클리셰(상투적인 표현) 문구를 거르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특별한 방법이 있는 건지 궁금하다.
"GPT킬러는 챗GPT, 클로드, 제미나이 등과 같은 생성형 AI가 작성한 글을 찾아내는 서비스다. 예시와 같이 자기소개서에 많이 쓰이는 문구들은 GPT킬러보다는 카피킬러에 검출될 가능성이 높다. 카피킬러는 출처 표기 없이 인터넷에 공개된 글을 그대로 가져온 사례를 잡아내는 표절 검사 서비스다. 자기소개서의 클리셰 문구를 복사해 붙여 넣기 한 경우 인터넷에 공개된 합격 자소서 등과 비교돼 카피킬러 검사에서 걸리게 된다. GPT킬러는 문장 속의 단어와 어순의 관계를 추적해 '사람이 작성한 문서인지', 'AI가 생성한 문서인지'를 알려준다."
인공지능 솔루션 기업 무하유가 지난 2018년 처음 선보인 AI 서류 평가 서비스 프리즘에는 ▲GPT킬러 디텍트 GPT 검사 ▲자기소개서 결함 검사 ▲카피킬러 표절 검사 ▲면접 질문 생성 등의 기능이 탑재됐다. 이 가운데 챗GPT가 만든 문장을 찾아내는 GPT킬러는 무하유가 2023년 출시한 서비스로, 프리즘에 해당 기능이 포함돼 있다.
-챗GPT로 생성한 문서는 어순이 어떻게 다른가.
"생성형 AI가 글을 만들어 내는 방식을 역으로 이용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문장 속 단어와 어순 관계를 추적해 맥락과 의미를 학습하는 AI 신경망 모델인 '트랜스포머'를 기반으로 한국어 NLU(자연어 처리)를 학습한 AI가 검사 문서를 문단 단위로 분할한다. 이후 각 문단에 대한 챗GPT 작성 확률을 분석해 입력된 값에 따라 그 결과를 참 또는 거짓 형태로 분류해 생성형 AI로 작성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자소서 작성에 챗GPT를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저런 클리셰 문구들을 자소서에 넣어서 표절 의심 자소서로 걸러질 수도 있는 건가.
"챗GPT를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에 공개된 합격 자기소개서를 베껴서 쓴 경우 GPT킬러가 아닌 카피킬러에 검출된다."
-취준생들이 자소서 작성시 챗GPT 사용을 의심받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 달라.
"자기소개서는 말 그대로 자기 자신을 소개하는 글이다. 챗GPT를 이용해 자소서를 만들면 할루시네이션(환각·그럴싸한 거짓 정보를 답변하는 현상) 효과로 인해 내가 경험하지 않은 것도 내 경험인 것처럼 작성될 확률이 높다. 챗GPT를 활용할 경우 전체적인 개요와 흐름만 참고한 뒤, 본인이 직접 글을 써야 한다. 먼저 대략적인 글의 구조와 주요 내용을 짠 다음, 생성형 AI가 만들어낸 초안을 바탕으로 수정과 보완을 거쳐 글을 완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 생성형 AI가 쓴 문장을 많이 사용할수록 GPT킬러에 탐지될 확률 역시 증가하기 때문에 한두 문장은 생성형 AI 결과물을 참고하되, 최대한 윤문을 통해 나만의 표현으로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CK PASS(취준생을 위한 자소서 진단 서비스)와 GPT킬러(생성형 AI로 만든 문서 탐지 서비스), 창과 방패를 함께 운영하며 얻은 노하우가 있다면.
"GPT킬러는 챗GPT로 작성한 글이 잘못됐으니 잡아내자는 취지가 아닌, 올바른 AI 활용 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개발한 서비스다. 자소서 분야에서 GPT킬러는 채용의 공정성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생성형 AI로 자소서를 쓰면 다른 사람의 경험과 역량이 자기소개서에 담길 수 있다. 인사팀에서 지원자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의 자소서를 평가해 채용을 결정한다면 공정성에도 문제가 되고, 채용 자체의 의미가 사라질 수도 있다."
-기업들은 첨단 기술에 숙달된 인재를 요구하면서도 막상 지원자들이 챗GPT를 이용해 자소서를 쓰면 채용에서 배제한다. 지원자 입장에서는 다소 혼란스러울 수도 있을 것 같은데, GPT킬러는 자소서 작성 과정에서 생성형 AI 사용의 오남용을 막아주는 기술로 보면 되는 건가.
"생성형 AI를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역량이 된 시대다. 다만,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쓰는지가 중요하다. 자소서에 내가 아닌 생성형 AI가 만들어낸 가상의 경험과 역량을 써서 낸 경우 이를 지원자의 자기소개서라고 할 수 있겠나. GPT킬러는 자소서의 표절률이 '몇 퍼센트다'는 결과를 제공할 뿐, 이 결과를 평가하는 건 사람의 몫이다. 지금도 GPT킬러를 통해 생성형 AI로 만들어낸 자소서라는 결과를 보고 지원자가 생성형 AI 활용 능력을 갖췄다고 생각하는 담당자가 있지 않겠나."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소서 작성에 대해 기업과 지원자 간의 균형점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무하유는 기업들의 요청으로 서비스를 개발했고, 필요한 기업에 제공할 뿐, 챗GPT로 쓴 자소서를 잡아낼지 말지, 검출한 뒤에 어떻게 할지는 기업에서 결정할 부분이다."
-앞으로 GPT킬러를 어떤 방향으로 업그레이드할 예정인가. 지원자의 생성형 AI 활용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기능을 개발할 계획도 있나.
"앞서 답변했듯 GPT킬러는 지원자의 글을 평가하는 서비스가 아니다. 생성형 AI로 작성됐다, 아니다를 검사하는 도구일 뿐 생성형 AI 활용 능력을 긍정 혹은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건 사람의 몫이다."
> 기사 원문 읽기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305500525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로 국내 기업들이 신입 채용을 대폭 줄여 취업 문이 전보다 더 좁아졌다. 취업 준비생들은 서류 준비 과정에서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과도하게 사용해 소중한 구직 기회를 날리는 일이 없어야 한다. <메트로경제신문> 은 지난달 25~27일 AI 기반 서류 평가 서비스 '프리즘' 개발사인 무하유에 생성형 AI를 활용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주의해야 할 점 등을 서면으로 물었다. 다음은 일문일답.
-'GPT킬러'의 자소서 표절 검사 방식이 어떻게 되나. '저는 강원도 강릉에서 3대 독자로 태어나~', '같이의 가치를 구현하는~', '대학에서 축제를 기획하며~', 등의 클리셰(상투적인 표현) 문구를 거르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특별한 방법이 있는 건지 궁금하다.
"GPT킬러는 챗GPT, 클로드, 제미나이 등과 같은 생성형 AI가 작성한 글을 찾아내는 서비스다. 예시와 같이 자기소개서에 많이 쓰이는 문구들은 GPT킬러보다는 카피킬러에 검출될 가능성이 높다. 카피킬러는 출처 표기 없이 인터넷에 공개된 글을 그대로 가져온 사례를 잡아내는 표절 검사 서비스다. 자기소개서의 클리셰 문구를 복사해 붙여 넣기 한 경우 인터넷에 공개된 합격 자소서 등과 비교돼 카피킬러 검사에서 걸리게 된다. GPT킬러는 문장 속의 단어와 어순의 관계를 추적해 '사람이 작성한 문서인지', 'AI가 생성한 문서인지'를 알려준다."
인공지능 솔루션 기업 무하유가 지난 2018년 처음 선보인 AI 서류 평가 서비스 프리즘에는 ▲GPT킬러 디텍트 GPT 검사 ▲자기소개서 결함 검사 ▲카피킬러 표절 검사 ▲면접 질문 생성 등의 기능이 탑재됐다. 이 가운데 챗GPT가 만든 문장을 찾아내는 GPT킬러는 무하유가 2023년 출시한 서비스로, 프리즘에 해당 기능이 포함돼 있다.
-챗GPT로 생성한 문서는 어순이 어떻게 다른가.
"생성형 AI가 글을 만들어 내는 방식을 역으로 이용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문장 속 단어와 어순 관계를 추적해 맥락과 의미를 학습하는 AI 신경망 모델인 '트랜스포머'를 기반으로 한국어 NLU(자연어 처리)를 학습한 AI가 검사 문서를 문단 단위로 분할한다. 이후 각 문단에 대한 챗GPT 작성 확률을 분석해 입력된 값에 따라 그 결과를 참 또는 거짓 형태로 분류해 생성형 AI로 작성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자소서 작성에 챗GPT를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저런 클리셰 문구들을 자소서에 넣어서 표절 의심 자소서로 걸러질 수도 있는 건가.
"챗GPT를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에 공개된 합격 자기소개서를 베껴서 쓴 경우 GPT킬러가 아닌 카피킬러에 검출된다."
-취준생들이 자소서 작성시 챗GPT 사용을 의심받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 달라.
"자기소개서는 말 그대로 자기 자신을 소개하는 글이다. 챗GPT를 이용해 자소서를 만들면 할루시네이션(환각·그럴싸한 거짓 정보를 답변하는 현상) 효과로 인해 내가 경험하지 않은 것도 내 경험인 것처럼 작성될 확률이 높다. 챗GPT를 활용할 경우 전체적인 개요와 흐름만 참고한 뒤, 본인이 직접 글을 써야 한다. 먼저 대략적인 글의 구조와 주요 내용을 짠 다음, 생성형 AI가 만들어낸 초안을 바탕으로 수정과 보완을 거쳐 글을 완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또 생성형 AI가 쓴 문장을 많이 사용할수록 GPT킬러에 탐지될 확률 역시 증가하기 때문에 한두 문장은 생성형 AI 결과물을 참고하되, 최대한 윤문을 통해 나만의 표현으로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CK PASS(취준생을 위한 자소서 진단 서비스)와 GPT킬러(생성형 AI로 만든 문서 탐지 서비스), 창과 방패를 함께 운영하며 얻은 노하우가 있다면.
"GPT킬러는 챗GPT로 작성한 글이 잘못됐으니 잡아내자는 취지가 아닌, 올바른 AI 활용 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개발한 서비스다. 자소서 분야에서 GPT킬러는 채용의 공정성을 높이는 데 사용된다. 생성형 AI로 자소서를 쓰면 다른 사람의 경험과 역량이 자기소개서에 담길 수 있다. 인사팀에서 지원자 본인이 아닌 다른 사람의 자소서를 평가해 채용을 결정한다면 공정성에도 문제가 되고, 채용 자체의 의미가 사라질 수도 있다."
-기업들은 첨단 기술에 숙달된 인재를 요구하면서도 막상 지원자들이 챗GPT를 이용해 자소서를 쓰면 채용에서 배제한다. 지원자 입장에서는 다소 혼란스러울 수도 있을 것 같은데, GPT킬러는 자소서 작성 과정에서 생성형 AI 사용의 오남용을 막아주는 기술로 보면 되는 건가.
"생성형 AI를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역량이 된 시대다. 다만,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쓰는지가 중요하다. 자소서에 내가 아닌 생성형 AI가 만들어낸 가상의 경험과 역량을 써서 낸 경우 이를 지원자의 자기소개서라고 할 수 있겠나. GPT킬러는 자소서의 표절률이 '몇 퍼센트다'는 결과를 제공할 뿐, 이 결과를 평가하는 건 사람의 몫이다. 지금도 GPT킬러를 통해 생성형 AI로 만들어낸 자소서라는 결과를 보고 지원자가 생성형 AI 활용 능력을 갖췄다고 생각하는 담당자가 있지 않겠나."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소서 작성에 대해 기업과 지원자 간의 균형점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무하유는 기업들의 요청으로 서비스를 개발했고, 필요한 기업에 제공할 뿐, 챗GPT로 쓴 자소서를 잡아낼지 말지, 검출한 뒤에 어떻게 할지는 기업에서 결정할 부분이다."
-앞으로 GPT킬러를 어떤 방향으로 업그레이드할 예정인가. 지원자의 생성형 AI 활용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기능을 개발할 계획도 있나.
"앞서 답변했듯 GPT킬러는 지원자의 글을 평가하는 서비스가 아니다. 생성형 AI로 작성됐다, 아니다를 검사하는 도구일 뿐 생성형 AI 활용 능력을 긍정 혹은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건 사람의 몫이다."
> 기사 원문 읽기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305500525